• 한국현대시 400선 1― 이해와 감상   (1 )
    1

  • 한국현대시 400선 1― 이해와 감상   (2 )
    2

  • 한국현대시 400선 1― 이해와 감상   (3 )
    3

  • 한국현대시 400선 1― 이해와 감상   (4 )
    4

  • 한국현대시 400선 1― 이해와 감상   (5 )
    5

  • 한국현대시 400선 1― 이해와 감상   (6 )
    6

  • 한국현대시 400선 1― 이해와 감상   (7 )
    7

  • 한국현대시 400선 1― 이해와 감상   (8 )
    8

  • 한국현대시 400선 1― 이해와 감상   (9 )
    9

  • 한국현대시 400선 1― 이해와 감상   (10 )
    10

  • 한국현대시 400선 1― 이해와 감상   (11 )
    11

  • 한국현대시 400선 1― 이해와 감상   (12 )
    12

  • 한국현대시 400선 1― 이해와 감상   (13 )
    13

  • 한국현대시 400선 1― 이해와 감상   (14 )
    14

  • 한국현대시 400선 1― 이해와 감상   (15 )
    15



  • ̸
    15 Pg
    մϴ.
Ŭ : ũԺ
  • 한국현대시 400선 1― 이해와 감상   (1 )
    1

  • 한국현대시 400선 1― 이해와 감상   (2 )
    2

  • 한국현대시 400선 1― 이해와 감상   (3 )
    3

  • 한국현대시 400선 1― 이해와 감상   (4 )
    4

  • 한국현대시 400선 1― 이해와 감상   (5 )
    5

  • 한국현대시 400선 1― 이해와 감상   (6 )
    6

  • 한국현대시 400선 1― 이해와 감상   (7 )
    7

  • 한국현대시 400선 1― 이해와 감상   (8 )
    8

  • 한국현대시 400선 1― 이해와 감상   (9 )
    9

  • 한국현대시 400선 1― 이해와 감상   (10 )
    10




  • (ū ̹)
    ̸
    10 Page
    մϴ.
Ŭ : ݱ
X ݱ
巡 : ¿̵

한국현대시 400선 1― 이해와 감상

레포트 > 기타 ٷΰ
ã
Ű带 ּ
( Ctrl + D )
ũ
Ŭ忡 Ǿϴ.
ϴ ֱ ϼ
( Ctrl + V )
 : 한국현대시 400선 1― 이해와 감상.hwp   [Size : 983 Kbyte ]
з   301 Page
  1,000

īī ID
ٿ ޱ
ID
ٿ ޱ
̽ ID
ٿ ޱ


ڷἳ

한국현대시를 대표하는 작품들을 정리하였습니다.
한국현대시400선1이해와감상
/

1. 전환기의 좌절과 희망

* 이해의 길잡이
1. 최남선(崔南善) 해(海)에게서 소년(少年)에게

2. 최남선 꽃 두고

3. 이광수(李光洙) 비둘기

4. 주요한(朱耀翰) 샘물이 혼자서

5. 주요한 불놀이

6. 주요한 빗소리

7. 김억(金億) 봄은 간다

8. 김억 오다 가다

9. 황석우(黃錫禹) 벽모(碧毛)의 묘(猫)

10. 오상순(吳相淳) 방랑(放浪)의 마음

11. 변영로(卞榮魯) 봄비

12. 변영로 논개

13. 홍사용(洪思容) 나는 왕(王)이로소이다

14. 박영희(朴英熙) 월광(月光)으로 짠 병실(病室)

15. 박종화 사(死)의 예찬(禮讚)

16. 이장희(李章熙) 봄은 고양이로다

17. 노자영(盧子泳) 물결

18. 양주동(梁柱東) 조선(朝鮮)의 맥박(脈搏)

19. 김동환(金東煥) 국경(國境)의 밤

20. 김동환 눈이 내리느니

21. 김동환 북청(北靑) 물장수

22. 김동환 산(山) 너머 남촌(南村)에는

23. 김동환 송화강 뱃노래

24. 김소월(金素月) 엄마야 누나야

25. 김소월 금잔디

26. 김소월 진달래꽃

27. 김소월 접동새

28. 김소월 왕십리(往十里)

29. 김소월 삭주 구성(朔州龜城)

30. 김소월 산(山)

31. 김소월 가는 길

32. 김소월 서도 여운(西道餘韻) - 옷과 밥과 자유(自由)

33. 김소월 길

34. 김소월 산유화(山有花)

35. 김소월 초혼(招魂)

36. 김소월 바라건대는 우리에게 우리의 보습 대일 땅이 있었더면

37. 김소월 삼수갑산(三水甲山) ― 차안서삼수갑산운(次岸曙三水甲山韻)

38. 한용운(韓龍雲) 님의 침묵(沈黙)

39. 한용운 이별은 미(美)의 창조

40. 한용운 알 수 없어요

41. 한용운 나룻배와 행인(行人)

42. 한용운 당신을 보았습니다

43. 한용운 복종(服從)

44. 한용운 정천 한해(情天恨海)

45. 한용운 찬송(讚頌)

46. 한용운 타고르의 시(詩) GARDENISTO를 읽고

47. 한용운 명상(冥想)

2. 식민지 현실의 폭로와 저항의 의지

* 이해의 길잡이

48. 이상화(李相和) 나의 침실로

49. 이상화 가장 비통한 기욕(祈慾)

50. 이상화 통곡(痛哭)

51. 이상화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52. 이상화 병적 계절(病的季節)

53. 임화(林和) 네거리의 순이(順伊)

54. 임화 우리 오빠와 화로

55. 임화 한 잔 포도주를

56. 김해강(金海剛) 봄을 맞는 폐허에서

57. 김해강 새 날의 기원

58. 박팔양(朴八陽) 밤차

59. 박팔양 데모

60. 박팔양 너무도 슬픈 사실-봄의 선구자 ‘진달래’를 노래함

61. 박세영(朴世永) 오후의 마천령(摩天嶺)

62. 박세영 산제비

63. 박세영 시대병 환자(時代病患者)

64. 오장환(吳章煥) 성씨보(姓氏譜) - 오래인 관습, 그것은 전통을 말함이다

65. 오장환 성벽(城壁)

66. 오장환 모촌(暮村)

67. 오장환 황혼(黃昏)

68. 오장환 소야(小夜)의 노래

69. 오장환 고향 앞에서

70. 이용악(李庸岳) 북(北)쪽

71. 이용악 풀버렛소리 가득차 있었다

72. 이용악 낡은 집

73. 이용악 두만강 너 우리의 강아

74. 이용악 오랑캐꽃

75. 이용악 전라도 가시내

76. 이육사(李陸史) 황혼(黃昏)

77. 이육사 연보(年譜)

78. 이육사 노정기(路程記)

79. 이육사 꽃

80. 이육사 자야곡(子夜曲)

81. 이육사 청포도

82. 이육사 절정(絶頂)

83. 이육사 교목(喬木)

84. 이육사 광야(曠野)

85. 윤동주(尹東柱) 초 한대

86. 윤동주 오줌싸개 지도

87. 윤동주 아우의 인상화(印象畵)

88. 윤동주 자화상(自畵像)

89. 윤동주 병원(病院)

90. 윤동주 십자가(十字架)

91. 윤동주 길

92. 윤동주 또 다른 고향(故鄕)

93. 윤동주 별 헤는 밤

94. 윤동주 서시(序詩)

95. 윤동주 간(肝)

96. 윤동주 참회록(懺悔錄)

97. 윤동주 쉽게 씌어진 시(詩)

98. 심훈(沈熏) 그 날이 오면

99. 심훈 만가(輓歌)

3. 순수 서정과 모더니즘의 세계

* 이해의 길잡이

100. 박용철(朴龍喆) 떠나가는 배

101. 박용철 싸늘한 이마

102. 김영랑(金永郞) 끝없는 강물이 흐르네

103. 김영랑 오매 단풍 들것네

104. 김영랑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

105. 김영랑 내 마음을 아실 이

106. 김영랑 모란이 피기까지는

107. 김영랑 북

108. 김영랑 오월(五月)

109. 김영랑 독(毒)을 차고

110. 김영랑 춘향(春香)

111. 신석정(辛夕汀) 임께서 부르시면

112. 신석정 그 먼 나라를 알으십니까

113. 신석정 아직 촛불을 켤 때가 아닙니다

114. 신석정 들길에 서서

115. 신석정 작은 짐승

116. 신석정 슬픈 구도(構圖)

117. 신석정 어느 지류(支流)에 서서

118. 정지용(鄭芝溶) 카페·프란스

119. 정지용 향수(鄕愁)

120. 정지용 말

121. 정지용 유리창(琉璃窓) 1

122. 정지용 그의 반

123. 정지용 고향(故鄕)

124. 정지용 난초(蘭草)

125. 정지용 바다 2

126. 정지용 구성동(九城洞)

127. 정지용 장수산(長壽山) 1

128. 정지용 춘설(春雪)

129. 정지용 백록담(白鹿潭)

130. 정지용 비

131. 정지용 인동차(忍冬茶)

132. 백석(白石) 정주성(定州城)

133. 백석 여우난 곬족(族)

134. 백석 가즈랑집

135. 백석 모닥불

136. 백석 여승(女僧)

137. 백석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138. 백석 고향(故鄕)

139. 백석 팔원(八院) - 서행 시초(西行詩抄) 3

140. 백석 남신의주유동박시봉방(南新義州柳洞朴時逢方)

141. 이상(李箱) 오감도(烏瞰圖) : 시 제1호

142. 이상 꽃나무

143. 이상 이런 시

144. 이상 거울

145. 이상 지비(紙碑)

146. 이상 가정(家庭)

147. 김기림(金起林)) 기상도(氣象圖)

148. 김기림 바다와 나비

149. 김광균(金光均) 성호 부근(星湖附近)

150. 김광균 설야(雪夜)

151. 김광균 와사등(瓦斯燈)

152. 김광균 데생

153. 김광균 외인촌(外人村)

154. 김광균 추일 서정(秋日抒情)

155. 장만영(張萬榮) 달·포도·잎사귀

156. 장만영 비의 Image

157. 장서언(張瑞彦) 고화병(古花甁)

158. 윤곤강(尹崑崗) 나비

159. 오일도(吳一島) 내 소녀(少女)

4. 생명의 의지와 전통의 깊이

* 이해의 길잡이

160. 서정주(徐廷柱) 문둥이

161. 서정주 화사(花蛇)

162. 서정주 자화상(自畵像)

163. 서정주 귀촉도(歸蜀途)

164. 유치환(柳致環) 깃발

165. 유치환 생명의 서(書)

166. 유치환 일월(日月)

167. 유치환 바위

168. 유치환 광야(曠野)에 와서

169. 유치환 춘신(春信)

170. 김광섭(金珖燮) 고독(孤獨)

171. 김광섭 동경(憧憬)

172. 김광섭 비 개인 여름 아침

173. 김광섭 마음

174. 김상용(金尙鎔) 남(南)으로 창(窓)을 내겠소

175. 함형수(咸亨洙) 해바라기의 비명(碑銘)

176. 김동명(金東鳴) 파초(芭蕉)

177. 김동명 내 마음은

178. 김동명 밤

179. 노천명(盧天命) 사슴

180. 노천명 푸른 오월

181. 노천명 남사당(男寺黨)

182. 박목월(朴木月) 나그네

183. 박목월 윤사월(閏四月)

184. 박목월 청노루

185. 박목월 산이 날 에워싸고

186. 박두진(朴斗鎭) 묘지송(墓地頌)

187. 박두진 향현(香峴)

188. 박두진 어서 너는 오너라

189. 조지훈(趙芝薰) 고풍 의상(古風衣裳)

190. 조지훈 승무(僧舞)

191. 조지훈 봉황수(鳳凰愁)

192. 조지훈 완화삼(玩花衫)

193. 조지훈 낙화(落花)

194. 조지훈 고사(古寺) 1

195. 박남수(朴南秀) 마을

196. 박남수 초롱불

197. 박남수 밤길

198. 김종한(金鍾漢) 낡은 우물이 있는 풍경

199. 이한직(李漢稷) 풍장(風葬)

200. 이한직 낙타(駱駝)

제2권

5. 해방공간의 서정과 시적 인식의 확대

* 이해의 길잡이

201. 정지용(鄭芝溶) 그대들 돌아오시니-재외혁명동지에게

202. 조지훈(趙芝薰) 산상(山上)의 노래

203. 박두진(朴斗鎭) 해

204. 신석정(辛夕汀) 꽃덤불

205. 조영출(趙靈出) 슬픈 역사의 밤은 새다

206. 김기림(金起林) 연가(戀歌)

207. 임화(林和) 9월 12일-1945년, 또다시 네거리에서

208. 임화 깃발을 내리자

209. 오장환(吳章煥) 병든 서울

210. 박세영(朴世永) 순아

211. 김광균(金光均) 3·1날이여! 가슴아프다

212. 설정식(薛貞植) 해바라기 3

213. 설정식 종(鐘)

214. 여상현(呂尙玄) 봄날

215. 여상현 분수

216. 김상훈(金尙勳) 아버지의 창 앞에서

217. 김상훈 호롱불

218. 이용악(李庸岳) 그리움

219. 이용악 하나씩의 별

220. 유진오(兪鎭五) 불길

221. 유진오 향수

222. 이병철(李秉哲) 곡(哭)-오호애재(嗚呼哀哉)

223. 김철수(金哲洙) 역마차

224. 윤곤강(尹崑崗) 지렁이의 노래

6. 전통시의 계승과 변모

* 이해의 길잡이

225. 김광균(金光均) 은수저

226. 서정주(徐廷柱) 밀어(密語)

227. 서정주 국화 옆에서

228. 서정주 무등(無等)을 보며

229. 서정주 상리과원(上里果園)

230. 서정주 광화문(光化門)

231. 서정주 추천사(鞦韆詞)―춘향(春香)의 말·1

232. 서정주 다시 밝은 날에―춘향(春香)의 말·2

233. 서정주 춘향 유문(春香遺文)―춘향(春香)의 말·3

234. 서정주 꽃밭의 독백(獨白)―사소(娑蘇) 단장(斷章)

235. 서정주 동천(冬天)

236. 서정주 신부(新婦)

237. 유치환(柳致環) 울릉도

238. 유치환 행복(幸福)

239. 유치환 저녁놀

240. 유치환 뜨거운 노래는 땅에 묻는다

241. 조지훈(趙芝薰) 풀잎 단장(斷章)

242. 조지훈 석문(石門)

243. 조지훈 민들레꽃

244. 조지훈 패강 무정(浿江無情)

245. 조지훈 꿈 이야기

246. 조지훈 병(病)에게

247. 박목월(朴木月) 산도화(山桃花)·1

248. 박목월 불국사(佛國寺)

249. 박목월 달

250. 박목월 하관(下棺)

251. 박목월 적막(寂寞)한 식욕(食慾)

252. 박목월 나무

253. 박목월 우회로(迂廻路)

254. 박목월 이별가(離別歌)

255. 박목월 가정(家庭)

256. 박목월 빈 컵

257. 박두진(朴斗鎭) 청산도(靑山道)

258. 박두진 하늘

259. 박두진 도봉(道峰)

260. 박두진 강(江) 2

261. 박두진 꽃

262. 박두진 유전도(流轉圖)―수석열전(水石列傳)·68

263. 박남수(朴南秀) 새

264. 박남수 아침 이미지

265. 박남수 종소리

266. 박남수 훈련

267. 김현승(金顯承) 플라타너스

268. 김현승 눈물

269. 김현승 가을

270. 김현승 가을의 기도

271. 김현승 견고(堅固)한 고독

272. 김현승 파도

273. 김현승 절대고독

274. 김현승 아버지의 마음

275. 김광섭(金珖燮) 생(生)의 감각

276. 김광섭 성북동(城北洞) 비둘기

277. 김광섭 산(山)

278. 김광섭 시인

279. 김광섭 저녁에

280. 신석정(辛夕汀) 전아사(餞迓詞)

281. 신석정 대바람 소리

282. 신석초(申石艸) 바라춤

283. 신석초 꽃잎 절구(絶句)

284. 김용호(金容浩) 주막(酒幕)에서

285. 김용호 눈오는 밤에

7. 전후(戰後)의 현실과 시적 대응

* 이해의 길잡이

286. 김수영(金洙暎) 공자(孔子)의 생활난(生活難)

287. 김수영 병풍(屛風)

288. 김수영 눈

289. 김수영 달나라의 장난

290. 김수영 폭포(瀑布)

291. 김수영 사령(死靈)

292. 박인환(朴寅煥) 목마(木馬)와 숙녀(淑女)

293. 박인환 세월이 가면

294. 박인환 살아 있는 것이 있다면

295. 박인환 검은 강

296. 모윤숙(毛允淑) 국군은 죽어서 말한다

297. 구상(具常) 초토(焦土)의 시·8 - 적군 묘지 앞에서

298. 구상 기도

299. 김경린(金璟麟) 국제열차(國際列車)는 타자기(打字機)처럼

300. 한성기(韓性祺) 역(驛)

301. 김규동(金奎東) 나비와 광장(廣場)

302. 박봉우(朴鳳宇) 휴전선(休戰線)

303. 유정(柳呈) 램프의 시

304. 이동주(李東柱) 강강술래

305. 한하운(韓何雲) 전라도 길 - 소록도로 가는 길

306. 한하운 보리 피리

307. 김춘수(金春洙) 꽃

308. 김춘수 꽃을 위한 서시(序詩)

309. 김춘수 능금

310. 김춘수 인동(忍冬)잎

311. 김춘수 나의 하나님

312. 김춘수 처용단장(處容斷章) 1의 2

313. 김남조(金南祚) 정념(情念)의 기(旗)

314. 김남조 너를 위하여

315. 김남조 겨울 바다

316. 박재삼(朴在森) 밤바다에서

317. 박재삼 울음이 타는 가을 강(江)

318. 박재삼 자연(自然)

319. 박재삼 추억(追憶)에서

320. 정한모(鄭漢模) 멸입(滅入)

321. 정한모 가을에

322. 정한모 나비의 여행(旅行)―아가의 방(房)·5

323. 정한모 어머니·6

324. 조병화(趙炳華) 하루만의 위안

325. 조병화 낙엽끼리 모여 산다

326. 조병화 의자·7

327. 문덕수(文德守) 꽃과 언어(言語)

328. 문덕수 선(線)에 관한 소묘(素描)·1

329. 이형기(李炯基) 낙화(落花)

330. 이형기 산

331. 이형기 폭포

332. 김종길(金宗吉) 성탄제(聖誕祭)

333. 김종길 설날 아침에

334. 김종길 황사 현상(黃沙現象)

335. 이수복(李壽福) 봄비

336. 김종삼(金宗三) 북치는 소년

337. 김종삼 민간인(民間人)

338. 김종삼 누군가 나에게 물었다

339. 김관식(金冠植) 석상(石像)의 노래

340. 박성룡(朴成龍) 교외(郊外)· 3

341. 박용래(朴龍來) 연시(軟柿)

342. 박용래 저녁눈

343. 박용래 겨울밤

344. 박용래 월훈(月暈)

345. 송욱(宋稶) 하여지향(何如之鄕)·일(壹)

346. 김광림(金光林) 산·9

347. 김광림 덤

348. 신동집(申瞳集) 목숨

349. 신동집 송신(送信)

350. 신동집 오렌지

351. 천상병(千祥炳) 새

352. 천상병 귀천(歸天)

353. 전봉건(全鳳健) 피아노

8. 새로운 역사의 지평을 열며

* 이해의 길잡이

354. 김수영(金洙暎) 푸른 하늘을

355. 김수영 어느 날 고궁(古宮)을 나오면서

356. 김수영 풀

357. 신동엽(申東曄) 진달래 산천(山川)

358. 신동엽 산에 언덕에

359. 신동엽 종로 5가

360. 신동엽 껍데기는 가라

361. 신동엽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362. 신동엽 금강(錦江)

363. 신동엽 봄은

364. 신경림(申庚林) 갈대

365. 신경림 겨울밤

366. 신경림 파장(罷場)

367. 신경림 농무(農舞)

368. 신경림 목계 장터

369. 민영(閔暎) 용인(龍仁) 지나는 길에

370. 고은(高銀) 눈길

371. 고은 문의(文義) 마을에 가서

372. 고은 화살

373. 황동규(黃東奎) 기항지(寄港地)·1

374. 황동규 조그만 사랑 노래

375. 황동규 풍장(風葬)·1

376. 이성부(李盛夫) 벼

377. 이승훈(李昇薰) 위독(危篤) 제1호

378. 허영자(許英子) 자수(刺繡)

379. 이수익(李秀翼) 말

380. 이탄(李炭) 옮겨 앉지 않는 새

381. 조태일(趙泰一) 국토 서시(國土序詩)

382. 정현종(鄭玄宗) 사물(事物)의 꿈·1

383. 강은교(姜恩喬) 우리가 물이 되어

384. 오규원(吳圭原) 개봉동과 장미

385. 오세영(吳世榮) 그릇·1

386. 김지하(金芝河) 서울 길

387. 김지하 타는 목마름으로

388. 이시영(李時英) 정님이

389. 이성선(李聖善) 큰 노래

390. 정희성(鄭喜成) 저문 강에 삽을 씻고

391. 조정권(趙鼎權) 산정 묘지(山頂墓地)·1

392. 정호승(鄭浩承) 슬픔으로 가는 길

393. 김명인(金明仁) 동두천(東豆川)·I

394. 김광규(金光圭)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

395. 송수권(宋秀權) 산문(山門)에 기대어

396. 이성복(李晟馥) 그 날

397. 최승호(崔勝鎬) 세속도시의 즐거움·2

398. 황지우(黃芝雨)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399. 김용택(金龍澤) 섬진강·1

400. 박노해 노동의 새벽

/

1. 전환기의 좌절과 희망

* 이해의 길잡이

우리가 흔히 개화기(開化期)라고 부르는 시기는 보통 1870년대~1910년대를 말하지만, 개화기의 문학은 이보다는 조금 늦게 1890년대 이후 성립된다. 그 내용에서 개화기의 현실 인식을 담고 있는 개화기 문학은 산문에서는 역사·전기 문학과 이른바 신소설류가 그 중심이 되고, 시가에서는 전통 시가의 형식을 계승한 개화 가사, 개화기 시조와, 외래 문화의 영향으로 새로 소개된 시형(詩形)인 창가와 신체시가 그 중심을 이룬다.
개화 가사와 개화기 시조는 공통적으로 개화 의식에 대한 비판적 경계심이 그 중심 주제를 이루면서 작가도 봉건적 인물이거나 미상인 경우가 대부분인 반면, 창가와 신체시는 개화기의 신흥 문물에 대한 찬양과 진취적인 기상을 드러내는 전문적 작가의 작품인 경우가 많다. 창가와 신체시는 개화기에 활발하게 설립된 각종 학교의 교가와 응원가, 그리고 기독교의 찬송가와 서양식의 행진곡 등의 음악의 영향을 크게 받아 성립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전대의 가사와 시조, 그리고 민요의 형식도 동시에 존재하고 그 어떤 하나의 형식이라고 볼 수도 없는 이른바 자유시형을 지닌 시가도 다수 발표되기도 하였다. 따라서 개화기 시가의 어떤 작품을 특정한 한 형식에 담아 두거나, 최초의 신체시 아니면 최초의 자유시 등으로 규정하는 것은 올바른 작품 이해의 방법이 되지 못한다.
이러한 1910년대의 시는 1919년 일대 전환을 이룬다. 1919년 1월 김동인과 주요한이 중심이 되어 창간된 『창조』는 최초의 근대 문예 동인지로서 자각적인 문학 활동으로서의 시와 소설을 다수 싣고 있으며, 1919년의 3·1 운동의 실패는 때마침 유행하던 세기말적 풍조와 맞물려 많은 지식인 시인으로 하여금 허무와 좌절을 읊조리게 하였던 것이다.


ڷ
ID : msys*******
Regist : 2012-05-18
Update : 2012-05-18
FileNo : 16194583

ٱ

연관검색(#)
한국현대시   400선   1―   이해   감상  


ȸҰ | ̿ | ޹ħ | olle@olleSoft.co.kr
÷Ʈ | : 408-04-51642 ֱ 걸 326-6, 201ȣ | ä | : 0561ȣ
Copyright ÷Ʈ All rights reserved | Tel.070-8744-9518
̿ | ޹ħ olle@olleSoft.co.kr
÷Ʈ | : 408-04-51642 | Tel.070-8744-9518